높이 1,439m이다. 태백산에서 남서쪽으로 벋은 소백산맥 중의 산으로서 비로봉(1,439m)·국망봉(1,421m)·제2연화봉(1,357m)·도솔봉
(1,314m)·신선봉(1,389m)·형제봉(1,177m)·묘적봉(1,148m) 등의 많은 봉우리들이 이어져 있다. 북서쪽은 경사가 완만하며 국망천이 흐르고, 동남쪽은 경사가 심하고 낙동강 상류로 들어가는 죽계천이 시작된다. 지질은 화강편마암이 중심을 이루며 주변으로는 중생대의 화강암류가 분포한다.
식물은 한반도 온대중부의 대표적인 식생을 갖는 지역으로서 낙엽활엽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철쭉 등 관다발식물 1,000여 종, 동물은 멧돼지 등 1,700여 종이 분포한다. 주봉인 비로봉은 수많은 야생화와 함께 희귀식물인 에델바이스(외솜다리)가 자생하고 이곳에서부터 국망봉 일대에는 주목(천연기념물 244)의 최대 군락지가 펼쳐져 있다.
삼국시대에는 신라·백제·고구려 3국의 경계에 있어서 문화유적이 많다. 죽계천 쪽으로는 석륜광산(石崙鑛山)·초암사(草庵寺)가 있고 이곳의 북동쪽으로는 석천폭포(石川瀑布)·성혈사(聖穴寺)가 있다. 남서쪽으로는 국망봉에 이어 제2연화봉이 있는데, 이 봉우리 동남쪽 기슭에는 643년(선덕여왕 12)에 창건한 희방사(喜方寺)와 내륙지방에서 가장 큰 폭포인 희방폭포(높이 28m)가 있다.
아름다운 골짜기와 완만한 산등성이, 울창한 숲 등이 뛰어난 경치를 이루어 등산객들이 많은데, 주요 등산로로는 희방사역에서부터 희방폭포와 제2연화봉을 거쳐 오르는 길과 북쪽의 국망천, 남쪽의 죽계천 골짜기를 따라 올라가는 길이 있다. 죽령과 제2연화봉 산기슭에는 국내 최대의 우주관측소인 국립천문대가 자리잡고 있다.
일대에 수려하고 웅장한 산과 주변의 명승지가 많아 1987년 12월 소백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공원면적 320.5㎢로서 경상북도 영주시·봉화군, 충청북도 단양군에 걸쳐 있다.
위치: 충북 단양군 가곡면과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금수산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에 있는 산.
높이는 1,015m이다. 멀리서 보면 산능선이 마치 미녀가 누워 있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하여 '미녀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월악산국립공원의 북단에 위치하며 주봉(主峰)은 암봉(巖峰)으로 되어 있다. 단양읍 북쪽으로 38km 떨어진 국망봉(國望峰:1,421m)·연화봉(蓮花峰:1,394m)·도솔봉(兜率峰:1,314m) 등과 태백산맥에서 갈라져 소백산맥의 기부를 이루며, 남쪽 계곡으로 남한강이 감입곡류한다.
원래는 백암산(白岩山)이라 하던 것을 퇴계 이황(李滉)이 단양군수로 있을 때, 산이 아름다운 것을 “비단에 수를 놓은 것 같다”고 하며 금수산이라 개칭하였다고 한다. 산기슭에는 푸른 숲이 우거져 있는데, 봄에는 철쭉, 여름에는 녹음, 가을에는 단풍, 겨울에는 설경이 아름다워서 북벽·온달산성·다리안산·칠성암·일광굴·죽령폭포·구봉팔문과 함께 제2의 단양팔경로 꼽으며, 연중 관광객이 많다. 계곡에는 한여름에도 얼음이 어는 얼음골이 있고 산중턱에는 가뭄이나 장마에도 수량이 일정한 용소와 매년 3, 4월경 주민들이 산신제를 지내는 제단이 있다.
충주댐 건설로 청풍호반을 조성하면서 생긴 금수산 5부능선상의 구불구불한 도로는 청풍문화재단지가 위치한 물태리로부터 제천시까지 약 10km까지 이어지는데, 갖은 기암괴석과 함께 청풍호반의 물이 드리워져 있어 드라이브 코스로 이름나 있다. 또한 인근에는 사극 드라마의 해상 촬영지가 있고 매년 10월이면 감골단풍축제가 열려 관광객이 찾는다.
제비봉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장회리에 있는 산.
높이는 721m이다. 단양군 단양읍 충주호에서 8㎞ 떨어진 장회리에 있다. 장회나루에서 배를 타고 구담봉 방면에서 바라보면 바위능선이 충주호 쪽으로 마치 제비가 날개를 펴고 하늘을 나는 것처럼 보인다 해서 제비봉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서쪽 골짜기에 설마동 계곡이 있으며 특히 가을 단풍이 유명하다. 정상은 오래된 적송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동·남쪽은 십여 리 절벽을 이룬다. 서북쪽에서는 충주호가 내려다보이고 동쪽에서는 소백산 줄기가, 북쪽에서는 금수산이 보인다.
산행은 장회리에서 출발해 정상에 오른 뒤 다시 장회리로 내려오는 5㎞ 길이의 코스가 일반적이다. 주변에 단양팔경·충주호·고수동굴·단양온천 등 관광지가 많아 등산과 함께 관광을 겸할 수 있다.
찾아가려면 영동고속도로를 타고 가다 문막분기점에서 중앙고속도로를 탄다. 서제천 인터체인지에서 제천시를 지나 5번 국도를 타고 단양군으로 들어와 북하삼거리를 지나 36번 국도를 타고 단성면 장회휴게소로 간다.
도담상봉
남한강의 맑고 푸른 물이 유유히 흐르는 강 한가운데 높이 6m의 늠름한 장군봉(남편봉)을 중심으로 북쪽 봉우리를 처봉이라 하고 남쪽 봉우리를 첩봉이라 하며 세 봉우리가 물위에 솟아있다.
상선암
크고 널찍한 바위는 없으나 작고 올망졸망한 바위들이 서로 모여 있는 모습은 소박하고 정겨운 한국인의 이웃을 연상케 한다.
석문
단양팔경의 하나이다. 도담삼봉에서 상류 쪽으로 약 200m 올라가 왼쪽 남한강가에 있는 무지개 모양의 돌기둥으로서 높이가 수십 척에 이르며 주변 경치가 아름답다.
왼쪽 아랫부분에는 옛날 하늘나라에서 물을 길러 내려왔다가 비녀를 잃어버린 마고할미가 살았다는 작은 동굴이 있다. 비녀를 찾기 위하여 손으로 땅을 판 것이 99마지기의 논이 되었으며, 남한강에는 징검다리를 놓고 건너다녔다고 한다. 넓은 논에서는 선인(仙人)들이 농사를 지어 하늘나라의 양식으로 썼다고 한다.
마고할미는 이곳에서 술과 담배, 아름다운 경치를 즐기며 오랫동안 살다가 죽어서 바위가 되었다고 하는데, 석문에는 긴 담뱃대를 물고 술병을 들고 있는 형상의 마고할미 바위가 있다. 이밖에 상류 쪽으로 좀 더 올라가면 자라를 조각해 놓은 듯한 자라바위가 있다.
하선암
소백산맥을 흐르는 남한강 상류에 위치하는 단양 남쪽 4km 지점인 단성면(丹城面) 대잠리(大岑里)에 있으며, 심산유곡의 첫 경승지로서 불암(佛岩)이라 부르던 3층의 넓은 바위를 조선 성종 때 임제광(林齊光)이 선암(仙岩)이라 부른 뒤부터 하선암이라 개칭하였으며 봄에는 철쭉꽃, 가을에는 단풍이 온 산을 물들이며 절경을 이룬다.
구담봉
단양 서쪽 8km 지점인 단성면 장회리(長淮里)에 있으며, 남한강을 따라 깎아지른 듯한 장엄한 기암괴석으로 그 형상이 마치 거북같다 하여 구봉(龜峰)이라고도 하였다.
옥순봉
단양 서쪽 9km 지점의 장회리에 있으며, 그 솟아오른 봉우리는 자유분방하고 기상천외하여 예로부터 소금강(小金剛)이라 불렀다. 1549년(명종 4) 단양 현감으로 부임한 이퇴계(李退溪)가 석벽에 ‘丹陽同門’이라 각명(刻銘)했다 하며, 우후죽순같이 솟아오른 천연적 형색이 희다 하여 옥순봉이라 하였다고 한다.
온달산성
온달산성은 사적 264호로 영춘면 하리 남한강변에 있는 성산에 축성된 산성이다. 길이 972m, 높이 3m의 반월형 석성으로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 되어 있다.
온달산성은 영토 확장 경쟁이 치열했던 삼국시대에 한강을 차지하기 위하여 고구려와 신라가 치열한 전투를 했던 곳으로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 온달 장군의 무용담과 함께 평강 공주와의 사랑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성 안에는 삼국시대의 유물이 출토되며, 우물터가 남아있고, 성벽 바깥부분에는 사다리꼴 모양의 배수구가 있다. 남서쪽 문터의 형식과 동문의 돌출부는 우리나라 고대 성곽에서 드물게 보이는 양식으로 주목할 만하다. 성의 북동쪽 남한강의 강변 절벽 아래에는 온달굴이라는 석회암 동굴이 있고, 성을 바라보는 북쪽 강 건너의 산에도 온달과 관계되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성벽의 보존 상태가 좋아, 축성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유적이다. 성의 아래에는 온달 동굴과 더불어 온달관광지가 조성되어 있다.
칠성암
대강면 황정리 대흥사에서 원통암 방향으로 골짜기를 따라 1시간30여분 정도 올라가면 원통암이 있고 그 서쪽에 하늘을 찌르는 바위가 있으니 대석이 30척이며 이 위에 마치 잘 다듬고 깎아 세운 듯한 70척의 바위 일곱 개가 솟아있어 칠성암이라 한다.
칠성암 바위 위에 약 300년쯤 되는 노송이 자라고 있어서 장관이었으나 고사하였다.
칠성암은 화강암석이라 햇빛이 비치면 눈이 부시어서 그 위용에 누구나 감탄을 자아내게 하였다. 부처님 손바닥 형상의 이 바위에 기도를 드리면 아들을 낳는다고 하여 득남을 원하는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았다.
죽령폭포
죽령은 예부터 서울과 경상도, 충청도와 강원도를 연결하는 요충지로 이 일대에 대나무가 무성하여 죽령이라 했다고 전한다.
내리막길 30리 오르막길 30리 아흔아홉 구비의 험하고 힘든 고개로 유명한데 이 죽령의 중턱 부근에 죽령폭포가 있다. 아홉 척의 높이에서 떨어지는 죽령폭포는 마치 은옥(銀玉)으로 수를 놓은 듯한 신비경을 자아낸다.
청정계곡이 주변의 울창한 숲과 어우러져 여름철 피서객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으나 국립공원 소백산 관리소가 비지정탐방로 및 자연보호지역이라고 하여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구봉팔문
영춘면에서 가곡면에 걸쳐 소백산의 지맥이 아홉 개의 봉우리를 이루며 그 사이사이 골짜기가 여덟 개의 문으로 되어 있어 절경을 이루는데 이를 구봉팔문이라고 한다.
전해 오는 바에 의하면 불제자가 이곳을 법문으로 오인하여 그 곳에 오르려고 애를 쓴 곳이라 하여 법월팔문(法月八門)이라고도 한다. 구봉팔문 중 4봉에서 우뚝 솟은 영주봉(일명 수리봉) 정상에는 구인사 초대 종정인 상월원각대조사의 묘소인 적멸궁이 있다. 적멸이란 불교에서 말하는 열반의 세계를 의미하며 이 적멸궁은 풍수지리학상 세 마리의 용이 승천하는 형상이라 한다.
고수동굴
고수동굴은 짧은시간이나마 태고의 신비를 느낄수 있는 곳으로 주굴과 지굴의 길이가 1,300m인 자연동굴로서 천연기념물 제25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의 지명은 임진왜란(1592년) 당시 한양을 떠나 피난길에 오른 밀양 박씨 형제 중 아우는 청주에 형은 이곳에 정착하게 되었는데 당시 이곳에는 키큰 풀(姑)이 많이 우거져(藪) 고수라고 부르게 된 것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갈대밭이 많았던 것으로 예상된다.
동굴은 인간이 감히 헤아릴 수 없는 세월의 흐름과 함께 석회암 산속에서부터 잔잔히 스며드는 빗물과 공기가 맞닿아 종유석과 석순이 자라는 요람으로 사계절 섭씨 15℃를 유지하고 있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다.
기기묘묘한 석순과 종유석으로는 독수리가 하늘을 날다가 잠시 땅에 내려 앉는 형상의「독수리 바위」, 단양팔경의 으뜸인「도담삼봉」바위와 그 곁에「네명의 딸바위」, 나신의 미녀가 날렵하게 하늘을 날아 오르는「미녀승무바위」, 고대로마의 웅장한 궁전을 연상케 하는「창현궁」, 농사철에만 물이 흐르는 조화를 부리는 층계모양의 논두렁「선녀옥답」등이 마치 조각을 해 놓은 듯 자연이 연출한 장관을 만날 수 있다.
동굴의 중간쯤에 이르면 수만가지 형태의 종유석과 석순이 즐비한「중만물상」과 수직고도 75m의「상만물상」이 세상의 아름다운 모든 것을 연출한다.
종유관을 통해 지하수가 흘러내리는「배학당」에 이르면 누런 이빨과 청명한 눈으로 오랜 세월동안 동굴을 지켜온「사자바위」가 포효하고 있으며 높이 14.5m로 동양최대의 석순인「황금주」는 하늘로 올라 세상끝과 맞닿을 것만 같다.
1년에 0.1㎜, 100년이라야 1㎝가 자라 몇 십 만년 후에야 만남을 이룰 수 있으리라는「사랑바위」는 종유석과 석순의 이룰 수 없는 사랑으로 보는 이들을 애절함과 안타까움에 빠뜨린다.
하늘에서 내려오는 물개바위「해구암」, 청명한 물방울이 끝없이 이어지는 「황금폭포」를 지나 동굴의 마지막에 있는 길이 40m의「천당성벽」을 지나다 보면 그동안 지나온 세월이 결코 짧지 않음을 실감할 수 있으며 이 고수동굴은 우리나라에서 경관이 제일 뛰어난 자연동굴로 전국 각지에 잘 알려져 있으며, 일본, 중국, 대만 등 외국 단체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이다.
만천하 스카이 워크
남한강을 한 눈에, 만천하 스카이워크만의 환상적인 전망을 구경해보세요
1. 입실일 5일전까지 취소, 변경은 취급 수수료(2,000원) 제외 환불
2. 입실일 4~2일전까지 취소, 변경은 총 입금액의 80%만 환불
3. 입실일 1일전까지 취소, 변경은 총 입금액의 70%만 환불
4. 입실일 당일 취소, 변경은 100% 환불 불가
5. 상기 규정을 원칙으로 하되,콘도회사의 예약, 취소 및 변경 약관에 따라 환불 수수료가 변경될 수 있음
6. 예약 취소시, 환불은 취소일 기준 3일(영업일 기준, 토,일,공휴일 제외)후 환불 됩니다.
연휴/연말(2일 이상 연휴), 벚꽃시즌(04/01~04/25), 여름성수기(7월중순~8월말)
단풍시즌(10/10~11/10), 겨울성수기(2021.12.17~2022.2.1/2.26~28)
1. 입실일 기준 7일전까지 취소, 변경은 취급 수수료(2,000원)제외 환불
2. 입실일 기준 6~5일전까지 취소, 변경은 총 입금액의 80%만 환불
3. 입실일 기준 4~2일전까지 취소, 변경은 총 입금액의 70%만 환불
4. 입실일 기준1일전까지 취소, 변경은 총 입금액의 60%만 환불
5. 입실일 기준 당일 취소, 변경은 100% 환불
6. 예약 취소시, 환불은 취소일 기준 3일(영업일 기준, 토,일,공휴일 제외)후 환불 됩니다.
◈ 취소, 변경은 업무 시간에만 해당되며, 영업시간 이후 취소, 변경은 익일 영업시간부터 적용됩니다.
◈ 예약취소 후 환불은 취소일로 부터 3~5일 정도 소요됩니다.
◈ 예약취소 가능시간 월-금요일 09:00~17:00, 토요일 09:00~12:00 / 일요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 근무시간 외에도 22시까지 전화상담 가능합니다.
◈ 전화 (02)546-8293
Tel : 02) 546-8293 Fax : 02) 546-8330 서울 특별시 송파구 가락동 77-4 송파웰츠타워 5층 508호 레져프라자
대표이사 : 김홍원 사업자 등록번호 : 211-01-81099 상호 : 레져프라자 통신판매업 : 제 강남-12003호 설립일 : 1998년 9월 15일
Copyright ⓒ 1998-2008 Leisure Plaza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